덴마크
북유럽에 있는 나라로 유틀란트반도와 섬 482개로 이루어진 나라이며, 국토가 대부분 바다로 둘러싸려 있다. 독일과 68km에 이르는 국경선을 맞대고 있다. 캐나다 북동쪽 앞바다에 있는 그린란드는 유틀란트반도에서 2,090km나 떨어져 있지만 덴마크 영토이다. 스코틀랜드 북쪽에 있는 페로제도 역시 덴마크의 자치령이다. 덴마크는 노르웨이, 스웨덴과 함께 스칸디나비아 국가에 속한다. 국민의 절반 이상이 유틀란트반도 주변의 섬에 살고 있다. 가장 큰 도시이자 수도인 코펜하겐이 이들 섬 가운데 가장 큰 섬에 자리 잡고 있다. 코펜하겐에는 전체 국민의 4분의 1 가량이 살고 있으며 전체 제조업체의 절반가량이 모여 있다. 덴마크는 생활 수준이 매우 높은 나라이다. 덴마크 국민은 천연자원이 빈약한 땅에서 번영을 일구어냈다. 이들은 자국 생산품을 다른 나라에 수출해서 번 돈으로 산업에 필요한 연료나 금속 따위를 수입한다. 덴마크는 농업 생산물이 유명한데 그중에서도 버터, 베이컨, 치즈, 햄을 비롯한 여러 가공식품이 유명하다. 그 밖에 가구, 은식기, 자기 등 디자인이 아름다운 제조품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바이킹시대 이후 덴마크인은 바다를 삶의 터전으로 삼았고 지금도 세계적인 선박 국가로 꼽힌다. 어업은 이 나라 경제생활에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부분이다. 근해의 풍부한 어장과 북해 덕택에 어업은 계속해서 주요 산업으로 자리를 지키고 있다. 덴마크는 푸르른 농장, 파란 호수, 하얀 해변의 나라이다. 찰 구획된 농경지가 국토의 4분의 3을 차지한다. 완만하게 구릉진 풍경 속에 옛 성과 풍차가 솟아 있다. 도시는 벙화하고 현대적이지만 화려한 옛 건물과 자갈길이 잘 보존되어 있어서 도시에서도 덴마크의 매력을 즐길 수 있다.
수도:코펜하겐
언어:덴마크어
공식이름:덴마크왕국
통화:크로네
1.생활양식
도시생활-전체 국민의 4분의 5 이상이 도시에 살고 있다. 코펜하겐, 오르후스, 오덴세, 올보르 따위의 주요 도시에는 성이나 성당 같은 중세 건물과 현대식 사무용 건물, 주택 따위가 어우러져 대조적인 풍경을 이룬다. 높은 생활수준과 광범위한 사회보장정책으로 도시에서도 빈민가나 허름한 주택을 찾아볼 수 없다, 도시에 사는 사람들은 주로 서비스업에 종사하고 대개 아파트에 살고 있다. 교외에 사는 사람들은 단독주택에 사는 경우가 많다. 모든 도시 대중교통망이 잘 구비되어 있다. 현대식 기차가 교외와 도시 중심부를 신속하게 오가고 도시와 도시 사이를 연결한다. 시내에서는 자전거, 버스, 자동차가 주요 교통수단이다.
농촌생활-농촌 인구는 전체 인구의 5분의 1에도 못 미친다. 그러나 아직도 농업이 덴마크의 중요한 산업이다. 덴마크의 농장은 크지는 않지만 농장 주인이 직접 살면서 운영하는 자영농이다. 농촌에 사는 사람들은 주로 현대식으로 지은 단독 주택에 산다.
식생활-덴마크인은 대부분 아침, 점심, 저녁에 밤참까지 하루 네 끼를 먹는다. 아침식사로는 대개 곡물이나 치즈, 달걀 따위를 먹으며, 저녁 식사에만 생선이나 고기 같은 따뜻한 음식을 먹는다. 가장 대표적인 덴마크 음식으로는 '스뫼레브레드'라고 하는 오픈 샌드위치를 들 수 있다. 스뫼레브레드는 다양한 재료로 만드는데, 어떤 것은 얇은 빵 위에 20여 개의 작은 새우를 피라미드 모양으로 쌓아 올려 만든다. 또 '데니시페이스트리'라는 얇은 켜를 층층이 낸 빵도 유명하다. 대표적인 후식은 딸기 푸딩과 쌀로 만든 푸딩이다. 덴마크 사람들은 보통 아침 식사 때와 오전과 오후에 일하다 쉬면서 커피를 마시고 식사 때 맥주를 마시는 사람이 많다.
2. 교육
성인은 대부분 읽고 쓸 줄 안다. 모든 어린이는 법에 따라 9년 동안 의무교육을 받아야 한다. 초등학교 7년, 중학교 3년에서 5년까지의 과정이 있다. 5년 동안 중등교육을 받은 학생은 대학교에 입학할 수 있다. 대학교는 전국에 모두 세 개가 있다. 가장 역사가 길고 규모가 큰 대학교는 코펜하겐대학교로 1479년에 세워졌으며 학생 수가 3만 7000명이다. 그 밖에 오르후스대학교와 오덴세대학교가 있다. 사립학교인 국민고등학교는 정부의 공교육과는 별도로 운영되지만 정부에서 많은 재정 지원을 받는다. 성인들을 대상으로 한 이 학교에서는 6개월 동안 학생들이 학교에서 생활하며 교육을 받는다. 국민고등학교는 전국에 20개 있다. 최초의 국민고등학교는 19세기 중반에 젊은 농민들이 정치, 사회 분야에서 더욱 적극적인 활동을 펼치는 데 도움을 줄 목적으로 세워졌다.
3. 예술
덴마크에는 예술, 특히 문학 분야에서 명성을 떨친 사람이 많다. 홀베르는 근대 문학의 아버지로 유명하다. 그는 18세기 초 덴마크 사회를 풍자하는 희곡과 시를 썼다. 1770년대에 많은 시를 썼던 에발은 덴마크 최고의 서정시인이다. 19세기의 중요한 문학 작품으로는 욀렌슐레게르가 쓴 낭만시와 그룬트비가 쓴 찬가를 들 수 있다. 안데르센은 동화를 써서 세계적으로 유명해졌다. 키르케고르는 실존주의 책을 써서 현대 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20세기 초 덴마크의 주요 소설가로는 폰토피단과 옌센을 들 수 있다. 둘 다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 기엘레루프도 노벨 문학상을 받았다. 닐센은 덴마크에서 가장 위대한 작곡가로 꼽힌다. 닐센은 6곡 교향곡 외에도 희극 오페라 <마스카라데> 같은 많은 작품을 썼다. 무용 분야에서는 발레의 거장 부르농빌이 가장 큰 업적을 남겼다. 덴마크왕립발레단은 부르농빌과 함께 19세기 중반에 전성기를 누렸으며 오늘날에도 세계적인 명성을 얻고 있다. 대표적인 조각가로는 토르발센이 있다. 코펜하겐에 있는 성모교회의 예수상은 그의 가장 유명한 작품이다. 영화감독 드레이어는 영화사에서 중요한 인물로 꼽힌다. 그의 영화 <잔 다르크의 열정>은 걸작으로 평가받고 있다. 디자인 분야에서는 은식기 디자인으로 유명한 옌센과 가구디자인의 야콥센을 꼽을 수 있다. 건축 설계사 우트손은 오스트레일리아의 시드니오페라하우스를 디자인했다. 이 건물은 돛모양 지붕으로 유명하다.
'세계의 여러나라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우 하정우,황정민이 출연한 영화의 나라 <수리남> (0) | 2023.05.01 |
---|---|
축구선수 리오넬 메시의 나라 <아르헨티나> (0) | 2023.04.30 |
아름다운 휴양지로 잘알려진 나라 <몰디브> (0) | 2023.04.29 |
<뉴질랜드> 자연환경 및 식생활과 교육 ,종교, 예술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04.29 |
말씨는 곱게 💕 말 수는 적게⬇️ (1) | 2023.04.21 |
댓글